지난해 11월, 충남선거관리위원회가 이응우 시장을 ‘공직선거법위반’으로 검찰에 고발한 사건과 관련 경찰은 지난 4월 17일 이를 ‘불송치’ 함으로 사건을 종결했다.

당시 李 시장 측은 통상적 업무 일환을 A모 씨가 선관위에 고발한 것으로 이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李 시장 흠집 내기라며 강한 반발을 하기도 하였으나 결국 혐의없음으로 일단락 되어 李 시장은 짐을 벗게 됐다.

이제 남은 건 내년 지방선거에서 李 시장의 역량 평가다. 만일 유권자의 재평가라면 연임이 가능할 것이나 그렇지 않을 시 단임으로 끝나고 만다. 지금까지 평가는 대체로 무난하다는 우호적 시각에 반해 그렇지 않다는 비판 역시 만만치 않다.

시민은 이제 李 시장의 남은 임기 동안 계룡시 크고 작은 이슈와 쟁점에 관해 대응 능력과 해결 방안을 지켜볼 것이며, 공약 이행 정도와 시장의 철학과 지향하는 가치와 비전의 내재화 등 총역량이 평가의 잣대가 될 것이다.

난마처럼 얽힌 현안 중 이케아 부지에 관한 건은 해결이 시급하다. 측근에서는 “이케아 문제는 전임 시장의 과오를 우리가 덤터기 쓴 꼴”이라 볼멘소리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종국에 이르러 해결 당사자는 李 시장이니 관계자들은 머리를 맞대고 조기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내야 한다.

李 시장이 임기 중 시민 복지와 사회 안전망을 공고히 하며 삶의 질을 높여 온 노력 뒤에 혹시 우리 사회 불공정 구조와 미쳐 손길 닿지 않은 복지의 사각지대는 없는지 더 살피고, 만일 존중되어야 할 시민의 목소리가 배척되어 소외와 불만이 증폭될 여지가 있다면 이것마저 경계해야 한다.

시장이 시민 모두의 공감과 이해를 모색하기란 사실 쉽지 않다. 그러나 시장을 숙주 삼아 호의호식하려는 사람들을 배척하지 못하거나 계룡시 거대 담론에 속 시원한 답을 못하거나 공약 충실을 이유로 시민 정서에 반하는 사업을 강행이라도 한다면 이마저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시장은 고도의 정책을 결정하는 정무직이니 기본적으로는 창의성과 독창성에 기인할 것이나 이미 결정된 것이라도 그것이 계룡시 장래를 위한 것이라면 과감한 ‘취사선택’에 주저해서도 안 된다. 결과가 혹독한 비판과 책임의 대상이라도 말이다.

이응우 시장 시정 3년을 대체로 ‘대과 없음’으로 평가할 것이나 남은 임기마저 시민의 물음에 답하고 급변하는 시대정신을 빠르게 포착한 뒤 미래 지향의 명확한 ‘어젠다’를 시민에게 제시한다면 차제에 이응우 계룡시장 르네상스 시대마저 열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가능하다.